미술수업

신학기 미술 수업 : #추상화

그림 그리는 봉쌤 2022. 12. 14. 15:18
728x90
SMALL

 

#추상화를 미술관에서나 이곳 저곳에서 작품을 관람했을 때 어땠어요?^^

 

#추상화는 알 수 없는 그림으로 관람하기 힘들었죠? 추상화를 무난하게 감상하신다면 미술에 대한 기본 상식이 있으시네요.^^

 

대부분 학생이나 일반인들은 추상화를 어려워합니다. 그래서 수업을 통해서 #추상화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기 위해 미술 수업에서 수행평가로 실기 표현과 미술비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추상화의 개념

자연 대상의 구체적인 재현에서 벗어나 사물의 본질이나 작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순수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미술 경향을 말한다.

조형요소 : 점, 선, 면, 형, 색 (명암, 양감, 질감, 재질감, 공간감, 원근감 포함)

조형원리 : 비례, 균형, 율동, 반복, 강조, 변화, 통일, 점증, 점강, 동세, 조화

 

뉴욕 소더비 경매에 나온 피에트 몬드리안 화가의 ‘구성 Ⅱ’.(사진=AFP)

 

바실리 칸딘스키,구성 No.4(Composition No.4.),1911,캔버스에 유채물감 / 160×251㎝ /독일 뒤셀도르프 베스트팔렌 미술관            출처 : 아시아에이( http://www.asiaa.co.kr)

 

 

추상 미술의 전개

20세기 초에 등장한 추상 미술은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시도되어 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추상 표현주의가 부상하면서 추상 미술의 커다란 흐름이 형성되었다. 여기에는 물감을 뿌리거나 칠한 흔적과 화가의 몸짓 그대로를 작품화하는 '액션 페인팅'그리고 넓은 색면이 지닌 감정의 힘을 강조하는 '색면 회화'가 포함된다. 유럽에서는 종래의 기하학적 추상에 반하여 격정적이며 주관적인 '앵포르멜'이 나타났는데, 화가들은 전쟁의 참상을 두터운 물감과 얼룩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기하학적 형태와 착시 효과를 활용하는 '옵아트'와 형태.색채를 되도록 간결하게 제시하는 '미니멀 아트'가 등장 했다. - 미술감상과비평-미진사

 

#추상화 미술수업

미술수업은 작품계획서를 작성하는데. 저는 모든 그림은 자연에서 나온다는 말에 동감하며 코로나 이전에는 음식을 직접 준비해서 먹고 만지고 하면서 오감을 체험하며 느낌을 생생하게 표현지도를 했지만 코로나 펜데믹 시기에는 현재까지 살아오면서 평소 맛나게 먹어본 음식을 선택하게 합니다. 예를 들면 최근에 먹어봤던 마라탕, 여름에 맛나게 먹었던 물 복숭아, 포도, 바나나, 등등

먹어본 기억이 생생하다면 작품계획서에 오감의 느낌을 글로, 그림으로 충분히 그려낼 수 있다고 본다. 이때 오감 느낌글은 문장으로 적고, 오감에 대한 그림은 점, 선, 면을 넣어서 표현하게 한다. 그러면 화면을 풍부하게 표현이 될 수 있다. 작품계획서와 실제 학생 작품을 예시를 보면 아래와 같아요.

이렇게 추상화를 제작과정을 거쳐 완성한 작품을 통해서 추상화에 대한 이해와 앞서 이야기한 추상화에 대한 두려움 사라지고 더 풍부한 미술작품세계를 감상할 수 있는 감상자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신학기 대비
평가 계획에 넣어 보세요?
학생들이 미술표현을 즐거워합니다.

#중학교미술수업 #고등학교미술수업 #신학기 미술수업 #수업계획안 #수행평가 #미술활동

https://blog.naver.com/g_art7up/

네이버 블로그

#그림 그리는 봉샘의 모든 미술수업#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