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 범입본 원저, 김원중 옮김
착함을 잇는다
계선(繼善)
공자가 말했다.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그에게 복으로 갚아주고
착하지 않은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그에게 재앙으로 갚는다."
한나라의 소열제가 임종하려 할 때 후주에게 조칙을 내려서 말했다.
"착한 일이 작다고 해서 아니하지 말고,
악한 일이 작다고 해서 그것을 하지 말라."
장자가 말했다.
"하루라도 착한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한 것이 다 저절로 일어난다."
태공(강태공)이 말했다.
"착한 일을 보면 목마른 것처럼 하고,
악한 것을 들으면 귀먹은 것처럼 하라."
또 말했다.
"착한 일이란 모름지기 탐내야 하며,
악한 일은 즐겨하지 말라."
마원이 말했다.
"죽을 때까지 착한 일을 행해도
착한 것은 오히려 부족하고,
하루만 악한 일을 행해도
악한 것은 저절로 남음이 있다."
사마온공이 말했다.
"돈을 쌓아두어 자손에게 남겨준다 해도 자손이 반드시 다 지킬 수는 없다.
책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준다 해도 자손이 반드시 다 읽을 수는 없으며,
남모르는 덕을 아무도 모르는 가운데 쌓아서 자손을 위한 계획으로 삼는 것만 같지 못하다."
경행록에 말했다.
"은혜와 의리를 널리 베풀어라.
인생이 어느 곳에서든지 서로 만나지 않으랴?
원수와 원한을 맺지 말라.
길이 좁은 곳에서 마주치면 회피하기 어려우니라."
장자가 말했다.
"나에게 착한 일을 하는 자에게 나 또한 그를 착하게 하고,
나에게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 나 또한 그를 착하게 할 것이다.
내가 이미 다른 사람에게 악하게 하지 않았으면
다른 사람도 나에게 악하게 함이 없을 것이다."
동악성제가 훈계를 내려 말했다.
"하루 동안 착한 일을 하면 복이 이르지는 않을지라도 재앙은 멀어질 것이다.
하루 동안 악한 일을 하면 재앙이 이르지는 않을지라도 복은 멀어질 것이다.
착한 일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나는 것은 보이지 않으나 나날이 더하는 바가 있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숫돌과 같아서
닳아 없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더라도 나날이 닳아 없어지는 것과 같다."
공자가 말했다.
"선한 것을 보거든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하고,
선하지 못한 것을 보거든 끓는 물을 만지는 것과 같이 하라."
- 명심보감, 범입본 원저, 김원중 옮김, 글항아리, 2012